1. 내 코드
num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for i in range(0, len(nums)):
for j in range(i + 1, len(nums)):
if nums[i] > nums[j]:
nums[i], nums[j] = nums[j], nums[i]
print(nums[1])
저는 번거롭긴 하지만 버블소트로 짜봤어요.
배운거 기억 더듬어볼 겸...
2. 숏코드
print(sorted(input().split(),key=int)[1])
풀이 후 다른 분의 숏코드를 보고 놀랐습니다. 이런 방법이 있었군요!
sorted로 int 기준으로 배열값들을 순서대로 정렬한 후, 가운데 값인 [1] 가져오네요.
결과값이 string이긴 하지만 채점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.
sort 함수는 리스트명.sort( ) 형식으로 "리스트형의 메소드"이며 리스트 원본값을 직접 수정하는 반면,
sorted 함수는 sorted( 리스트명 ) 형식으로 "내장 함수"이며 리스트 원본 값은 그대로이고 정렬 값을 반환한다고 합니다.
숏코드는 볼때마다 충격입니다. ㅇ_ㅇ
그래도 좋은 공부가 되기에 자주 찾아보게 되죠. :D
'인간은 어떻게 배울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-파이썬] 2558번 A+B-2 (브론즈5) (0) | 2023.06.22 |
---|---|
[백준-파이썬] 1712번 손익분기점 (브론즈2) (0) | 2023.06.22 |
[백준-파이썬] 10872번 팩토리얼 (python) (0) | 2023.06.21 |
[js] 함수 표현식과 함수 선언, 호이스팅 (0) | 2023.06.19 |
[논리력] 로보즐-Right on red (0) | 2023.06.19 |